IT

람다(lambda)

rimicode 2022. 6. 12. 23:21
728x90
반응형
SMALL

람다 활용 목적

함수를 단순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'함수의 계산' 이라는 개념을 더 깊이 이해

인라인으로 작성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함수에 비해 읽기 쉬움

함수 표현식의 규모가 작을 때 사용하는 것이 좋음

인라인이란 라인 안쪽에서 코드를 구현하는 것

인라인은 코딩 스타일을 나타내기도 하며, 한 줄로 코드를 작성하는 형태

# 인라인 코드 예시
b = 6
a = 10 if b == 2 else (2 if b>3 else 3)
print(a)

# 2

 


람다 장점

함수 객체를 반환

함수 객체를 인수로 필요로 하는 map 또는 filter 와 같은 함수와 함께 사용할 때 유용

# 함수 정의 
def_word = (lambda word, define: word * define)

# 함수 호출
result = def_word('call_result_', 5)

# 결과 출력
print(result)

# call_result_call_result_call_result_call_result_call_result_
# 리스트 생성
spelling = ['test1', 'test2', 'test3', 'test4', 'test5']

# 람다 함수
shout_spells = map(lambda item: item + ('!!!'), spelling)

# 리스트로 반환
shout_spells_list = list(shout_spells)

# 결과 출력
print(shout_spells_list)

# ['test1!!!', 'test2!!!', 'test3!!!', 'test4!!!', 'test5!!!']

 

728x90
반응형
LIST